홈으로 로그아웃 대학홈가기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은 정보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위해 아래 전산시스템과 연동을 통해 주기적으로 최신정보로 업데이트 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학사정보시스템 : 연구활동종사자 정보
- 공간관리시스템 : 연구실정보, 상시연구활동종사자 정보, 관리대상기자재 정보

연구실정보나 관리대상기자재 정보를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Lock기능을 설정해야 합니다.

UNSIT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안전관리
폐기물처리
화학폐기물
  • 정의
    • 실험실에서 화학물질을 사용하고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액상 및 고상, 시약 공병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물질이다.
  • 종류
    • 부식성폐기물(폐산, 폐알칼리)
    • 유해물질함유폐기물(폐흡착제, 폐흡수제)
    • 폐무기계(오일등)
    • 폐유기용제
    • 폐유독물(사용하지 않는 폐시약
    • 기타 유해물질
  • 수집 및 보관
    • 화학폐기물은 발생시부터 산, 알칼리, 유기용제, 오일, 고상 등으로 성상별로 구분하여 수집한다.
      • - 수집한 용기에는 폐기물 스티커를 부착 및 입력사항을 기재해야 한다.
      • - 공병 및 폐플라스틱은 종이 박스에 담아 폐기한다.
    • 화학폐기물 수집용기는 폐액에 의하여 부식되지 않는 내화학성 재질로 된 용기 사용해야 한다.
      • - 유리병에 수집한 폐액은 수거 불가
    • 시약병에 화학물질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시약공병으로 처리해서는 안 된다.
      • - 사용하지 않거나 오래된 시약은 별도의 폐시약 처리
    • 장기간 보관해서는 안 된다.
      • - 수집 후 최대 45일 이상 보관 불가
  • 구 분 폐 액 폐시약
    종 류 액상폐기물 사용하지 않는 시약
    배출용기
    폴리에틸렌 수집용기

    폴리에틸렌 수집용기


    종이박스

    종이박스

  • 폐기물처리 기타 주의사항
    • 절대로 씽크대, 화장실 등에 무단투기해서는 안 된다.
    • 폐액이 흘러내리거나 휘발하여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개를 닫아야 한다.
    • 부득이 지정된 일시 외에 처리하고자 할 경우 담당자(운영사:8282)와 협의해야 한다.
    • 졸업, 퇴직 등으로 실험실을 떠나는 경우 사용하던 시약을 폐기 또는 인수인계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