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전자변형생물체 연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기관에서는 취급하는 유전자변형생물체의 특성에 맞추어 기관별로 실험폐기물 처리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여 준수해야 합니다.
유전자변형생물체와 관련된 모든 연구폐기물은 폐기하기 전에 반드시 생물학적 활성을 제거하여 의료폐기물로 처리하면 됩니다.
생물학적 활성 제거를 위해 실험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고압증기멸균을 사용하는방법입니다.
이는 살아있는 생물체를 고압증기를 사용하여 완전히 파괴시키는 방법으로 고압증기멸균이 가능한 품목과 불가능한 품목
(예: 화학물질, 방사성 폐기물, 열에 약한 플라스틱, 동물사체 등)이 있으므로 사용 시 주의해야 합니다.
고압증기멸균이 불가능한 품목은 폐기물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제거한 뒤에 폐기하도록 합니다.
고압증기멸균을 할 때에는 전용봉투를 사용하고, 봉투의 외부가 오염되었으면 이중으로 포장하여 멸균하도록 합니다.
불활성화 조치방법을 아래와 같습니다. -
불활성화 조치방법
-
고압증기멸균 : 121℃ 고온에서 15분간 처리(일반적인 방법)
- - 멸균하고자 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의 특성에 따라 온도 및 시간 조절
- 자외선 살균소독
-
화학처리(락스 등)
※ 의료폐기물이 아닌 폐기물로써 의료폐기물과 혼합되거나 접촉된 폐기물은 혼합되거나 접촉된 의료폐기물과 동일한 폐기물로 취급
-
고압증기멸균 : 121℃ 고온에서 15분간 처리(일반적인 방법)
-
LMO실험폐기물 불활성화 조치가능한 관련 장비 또는 설비
-
고압멸균기 또는 화학적 처리를 필수적으로 구비
-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폐기물은 생물학적 활성을 제거하여 폐기해야 하므로 활성 제거 전과 후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보관하도록 합니다.
또한 유전자변형생물체 폐기물임을 알리는 표지를 부착하고, 표지에는 폐기물 종류, 폐기일자, 수량, 무게, 책임자 등을 기록하도록 합니다.
동물 사육에 사용된 깔짚은 동물의 분뇨뿐만 아니라 기타 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밀봉이 가능한 멸균용 봉투나 용기에 보관하고,
고압증기 멸균처리를 통해 생물학적 활성을 완전히 제거한 후 폐기 합니다.
폐기해야 할 깔짚의 양이 많거나, 설비부족 등으로 인해 기관 자체에서 멸균 처리하여 폐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의료폐기물로 분류하여 폐기물업체에 위탁,
소각처리를 할 수도 있습니다.
-
유전자변형생물체 관련 폐기물은 생물학적 활성을 제거하여 폐기해야 하므로 활성 제거 전과 후를 구분하여 표시한 후 보관하도록 합니다.
-
고압멸균기 또는 화학적 처리를 필수적으로 구비